뉴스 > 정치사회 > 정치

尹지지율 33%, 1%p↓…이준석 신당 '좋게 본다' 38% [한국갤럽]

  • 보도 : 2023.11.24 10:55
  • 수정 : 2023.11.24 10:55

대통령 직무 평가…긍정 33%, 부정 59%

정당지지도…국힘 33%, 민주 35%

당대표 역할 평가…김기현, 긍정 26%, 부정 61%

이재명, 긍정 31%, 부정 60%

디지털캠프광고로고

이준석 신당…좋게 본다 38%, 좋지 않게 본다 48%

조세일보
◆…영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2일(현지시간) 런던 왕립학회에서 열린 한·영 최고과학자 과학기술 미래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. [사진=연합뉴스]

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지난주보다 소폭 하락한 33%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. 또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신당 창당에 대해선 '좋게 본다' 38%, '좋지 않게 본다' 48%로 나타났다.

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11월 21~23일 사흘간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1월 4주차 정례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수행 평가를 설문한 결과, '잘하고 있다'는 긍정평가는 33%, '잘못하고 있다'는 부정평가는 59%로 나타났다.
 
조세일보
◆…[사진=한국갤럽]
 
지난 조사(11월 3주차)와 비교해 긍정평가는 1%포인트 하락(34%→33%)했고, 부정평가는 3%포인트 상승(56%→59%)했다. 긍정 평가가 2주 연속 소폭 하락한 반면 부정평가는 2주 연속 상승했다.

긍정 평가 이유로는 '외교' 응답이 40%로 압도적으로 높았다, 이어 '국방/안보', '경제/민생'(이상 6%), '전반적으로 잘한다', '열심히 한다/최선을 다한다'(이상 5%), '서민 정책/복지', '전 정권 극복', '결단력/추진력/뚝심'(이상 3%) 순으로 나타났다.

부정 평가 이유로는 '경제/민생/물가'(18%), '외교'(11%), '전반적으로 잘못한다'(8%), '독단적/일방적', '소통 미흡'(이상 6%), '경험·자질 부족/무능함'(5%), '통합·협치 부족', '인사(人事)', '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', '서민 정책/복지', '검찰 권력 과도'(이상 2%) 등을 이유로 들었다.

지역별로 보면 서울(긍정 38%·부정 56%), 인천·경기(긍정 25%·부정 66%), 대전·세종·충청(긍정 34%·부정 58%), 광주·전라(긍정 20%·부정 74%), 부산·울산·경남(긍정 36%·부정 54%)에서는 부정평가가 높았다. 대구·경북은 긍정 54%·부정 34%로 긍정평가가 더 높았다.

세부적으로 서울(7%p↑), 광주·전라(5%p↑)에서 지지도가 올랐고, 인천·경기(6%p↓), 부산·울산·경남(5%p↓), 대구·경북(1%p↓)에서는 지지도가 하락했다.
 
조세일보
◆…[사진=한국갤럽]
 
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3%, 더불어민주당 35%, 정의당 4%, 기타 정당·단체 2%, 지지하는 정당 없는 무당(無黨)층 27%로 집계됐다.

지난 조사에 비해 국민의힘은 2%포인트 하락(35%→33%)했고, 민주당은 2%포인트 상승(33%→35%)했다.

양당 당대표의 역할 수행 평가에 대해 설문한 결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에 대해서는 26%가 긍정, 61%가 부정 평가했다.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해서는 31%가 긍정, 60%가 부정 평가했다.

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의 역할 수행 평가에 대해 설문한 결과 '잘하고 있다' 42%, '잘못하고 있다' 39%로 나타났다.

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중심 신당 창당에 대해서도 설문한 결과 '좋게 본다' 38%, '좋지 않게 본다' 48%로 응답했다. 14%는 의견을 유보했다. 국민의힘 지지자 중 74%가 부정적으로 본 반면, 민주당 지지자의 57%는 긍정적으로 봤다. 무당층과 성향 중도층에서는 긍·부정 한쪽으로 쏠림 없이 의견이 갈렸다.

한국갤럽은 "신당 창당 시 지지 의향을 묻는 것이 아니라, 신당 창당 자체에 대한 인식이란 점에 주의해야 한다"고 덧붙였다.

이번 조사는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. 표본오차 95% 신뢰수준에 ±3.1%P이며, 응답률 13.4%다.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. 

관련기사